logo
HOME CONTACT US SITEMAP ENGLISH

 

tel


 
 

용접 품질 평가용

제품안내  > 실시간 네트워크 시스템  > 용접 품질 평가용
용접 품질 관리용   용접공정의 실시간 감시 및 데이터 관리용 전용장비

산업현장에서 실제로 필요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용접품질을 측정 및 평가를 하여 용접부의 양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를 위해서는 각 용접 프로세스, 또는 특정한 용접조건별로 필수 파라미터의 측정 및 측정값에 대한 최적의 패턴분석에 따른 용접부 품질평가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들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S/W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융합이 되어 잘 작동되어야 하고, 판단확률을 최대한 높여서 실시간 전수검사 시스템으로 활용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항용접일 경우)
용접 공정 관리용   용접 품질 평가용
1. 전류    
2. 전압   7. NQ1
3. 가압력(또는 공압) +
4. 동저항    
5. 입열량   8. NQ2
6. 통전시간  

NQ1, NQ2는 현장 맞춤형 불량판단 알고리즘 입니다.

저항용접일 경우, 기존의 실시간 네트워크 시스템(용접 공정 관리용)의 6개의 파라메타(전류, 전압, 가압력, 동저항, 입열량, 통전시간)의 상하한 관리범위를 감시하여 품질을 관리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사의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해 현장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여러 불량유형의 패턴을 분석한 결과 세계최초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본 알고리즘의 품질평가는 기존의 상하한 관리 시 불량을 감시 할 수 있는 확률을 무려 6배나 올리는데 검증이 되었습니다.

공정관리
< 저항용접기의 품질 평가 시스템 모식도 >

 

NQ1, NQ2의 파라메터가 본 품질평가 시스템에 탑재가 되면, 기존의 6가지 파라메터를 통과하여 불량 유무를 판단하였으나, 양품으로 판정된 제품에 불량의 소지가 있습니다. 불량의 소지가 있는 제품은 NQ1과 NQ2의 알고리즘을 통해 P1~P6파라메터에서 감지하지 못한 제품의 불량까지 판단하게 됩니다.

 

 

불량을 판단 할 수 있는 확률은 기존P1~P6의 6가지의 변수를 통해 대략 15%의 판단능력을 보일때, 알고리즘이 추가됨으로 인해 85~95%의 품질판단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본 알고리즘의 품질판단능력을 최상의 상태로 올리기 위해서는 귀사의 현장에서 발생하는 불량유형을 분석해야 합니다.

< 품질 평가 시스템의 순서도 >  

 

 

 

  BLOG :│NAVER 블로그│DAUM 블로그│ E-MAIL: │monitech01@naver.com│